본문 바로가기
사주 지식

사고수가 강할 때는 알고 조심하자! 사고의 기운 + 건강 조심 운

by 리얼유 2022. 3. 4.

*** 여기서 말하는 사고수란 조선시대 혹은 그 이전에 세워진 개념이니 참고하시고, 

요즘 시대 때 맞게 되는 사고의 강도나 형태와는 상당히 다를 것임을 알아두세요. 

이전에는 큰 사고라고 느낀 것이 지금은 가벼운 마찰거리 정도로 지나가거나 병원을 통해 쉽게 해결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가령 전근대에는 어딘가 부딪히고 팔이 부러지는 것이 큰 일이었겠으나 요즘은 뭐 ㅋㅋ 축구하면서 놀다가 발목 나가거나 농구하다가 어깨 살짝 빠져서 병원 가는 애들도 많잖아요. 그런 느낌~ 

 

 

 

1. 일주가 괴강살 + 다른 주에 괴강살이 2개 이상일 때 

ㄴ 이 경우는 보통 군경검이나 빡센 분야로 많이 빠지긴 한다

 

2. 양인이 3개 이상 동주해있을 때 

 

3. 양인과 상관이 동주해 있고 + 상관이 기구신일 때 

 

4. 신약한 구조이고 인성을 희신으로 쓰는데 <- 대/세운에서 오는 재성이 인성을 극해서 깨뜨릴 때 

ex. 이 경우 임인년이 편재인 사람들은 

무토, 경금 이 되겠죠. 

- 무토가 인성을 중요하게 가지고 있는데 임수가 병임충이나 정임합으로 묶어버리는 경우 

- 경금이 인성을 희신으로 쓰고 있는데 인목이 미토와 인미귀문 / 술토와 오화와 같이 있는 사람은 인오술 합화 로

인성에 작용이 걸리거나 합화되어 본래 기능을 잃어버리는 경우

등을 예로 들 수 있겠지요. 

 

 

5. 편관이 태왕한테 식신이 없을 때 

 

6. 양인, 도화, 목욕, 편관이 원국 + 대운/세운으로 동시에 모일 때 

 

7. 월지가 관성이고 + 관성이 충을 당할 때 

 

8. 이 외에 본인이 '건강'으로 중요하게 쓰고 있는 오행기운에 작용을 하는 운이 오면 급작스러운 사고라기보단 건강 자체에 문제가 생기기도 합니다. 

ex.

수기운이 중요한 사람이고 원국에 수가 많은데 무술년, 무술월이 동시에 오는 경우 

화기운이 중요한 사람인데 축토가 연달아 와서 불이 꺼져버린 경우 

등등

 

 

---

 

* 괴강살이란? 

임진, 경진, 무진 

임술, 경술, 무술 

글자가 묘지로 존재하고, 고지로 되어 있는 원국. 

 

* 양인이란? 

1) 일간 기준으로 일지/월지가 겁재일 때 양인이라고 한다. 

ex. 을묘일주+인목 월지 / 경자일주 + 신금 월지 

 

2) 병오일주 / 무오일주 / 임자일주 만 양인으로 보는 관점도 있다. 

 

 

 

양인살에 대해서는 제가 따로 다룰 생각입니다.

 

 

 

 

 

 

#괴강살 #양인살 #병오일주 #무오일주 #개운법 #개운하기 #사주개운 #도화 #편관 #편관동주 #양인 #관성 #관성충 #사주풀이 #사주상담 #운세 #임인년운세 

반응형

댓글